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경해여자고등학교

검색열기

열린 마당

학부모 공간

메인페이지 열린 마당학부모 공간

학부모 공간

게시 설정 기간
학부모 공간 상세보기
<자녀와의 소통을 위한 대화법>
작성자 *** 등록일 2019.02.20
<자녀와의 소통을 위한 대화법>
[가] 자녀들의 감정 이해하기

1) 관심을 갖고 조용히 자녀들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가) 이야기를 시작하려는 아이에게 부모가 건성으로 듣는 척하는 것은 아이에게 실망만 안겨준다.
나) 주의 깊게 잘 들어주는 부모에게 아이는 자기의 문제를 더 쉽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2) 자녀들의 말을 인정해 준다.
가) 부모가 아이에게 자신의 기준으로 질문하고, 꾸짖고, 충고를 할 때 아이들은 올바로 생각하기 힘들다.
나) 질문과 충고보다는 “오, 음, 그래”와 같은 간단한 말이 아이들에게 도움을 준다.
다) 이렇게 주의 깊게 들어주는 태도는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탐색해 보도록 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준다.

3) 자녀들이 느끼는 감정 인정해 준다.
가)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나쁜 감정(슬픔, 속상함)을 잊어버리라고 하면 아이들은 오히려 화를 내며 더 기분 나빠한다.
나) 자녀들의 감정을 그래도 읽어주면 그 감정에 빠져들까 부모들은 염려하기 십상이다. 그러나 아이들은 자기가 경험한 것을 누군가가 이야기해 줄 때
자신의 내적 감정을 이해해주는 것 같아 깊은 위안을 얻는다.
다)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면 변화가 시작된다.
라)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라고 말하려면, 아이가 힘들어 한 그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엄마(아빠)는 날 이해하지 못해요.”라고 말할 뿐이다.

4) 자녀들이 원하는 것을 상상으로 표현해 준다.
가) 논리적 설명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나) 자녀가 정말로 원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되지 않을 때, 부모가 함께 이해해 주고 상상으로 표현해주면 자녀들은 오히려 원하는 것을 참을 수 있게 된다.


[나] 자녀들과 협력하기

1) 문제 행동에 대한 질책 대신에 문제점을 이야기해 준다.
가) 잘못하고 있는 자녀에게 무엇을 해야 한다고 질책하는 것은 나은 행동으로 나아가도록 돕지 못한다. 단지 문제점만을 이야기해 줄 때 자녀는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게 된다.
나) 부모가 문제가 무엇인지 이야기해 줄 때, 자녀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스스로 생각하여 말할 기회를 갖게 된다.

2) 정보를 제공해 준다.
가)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은 비난하는 것보다 받아들이기가 쉽다.
나) “우유를 밖에 놔두면 상한단다. 비 맞은 채로 놔두면 곰팡이가 슨단다.” 등
다) 자녀들은 그 정보를 바탕으로 그들 스스로 무엇을 해야 할지 알게 된다.
라)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자주 제공하면 아이는 오히려 부모가 빈정댄다고 생각하게 된다.

3) 당신의 감정을 이야기한다.
가) 아이들의 특성이나 성격을 비난하지 말자.
나) 아이들은 부모의 솔직한 감정을 들을 권리가 있다. 부모가 느끼는 감정을 이야기해 줌으로써 아이의 마음을 다치게 하지 않고 부모는 더 솔직해질 수 있다.
다) “난 네가 문을 세게 닫을 때 싫단다. 난 네가 옷을 마구 벗어놓을 때 힘들어” 등
라) 당신에게 대들지 않는다면 아이기 불만이나 화가 난 것을 이야기할 때 협력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마) 부모가 불만을 이야기하는 대신 부모의 기대를 이야기해 주는 것이 좀 더 유익하다.

4) 재미있는 메모를 남긴다.
가) 때로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메모를 남기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재미있는 표현은 누구의 마음도 상하게 하지 않는다.
나) “컴퓨터하기 전에 할 일들. 동생 돌보기, 낮잠 30분” 등
다) 도움을 요청하는 메모를 받은 자녀는 자신이 부모에게 도움이 되는 존재라고 생각하게 된다.
라) 부모는 이러한 흐름을 갖고 아이들이 자신에게 협력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 문제 상황에서 벌을 주기 보다는 대안적인 방법을 제시해준다.

1) 부모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이 무엇인지 이야기해준다.
가) 잘못된 행동에 대한 벌이 있을 것을 말하기보다 자녀가 부모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이 무엇인지 이야기해 준다.
나) “마트에서는 뛰어 다니지마”/ “나에게 이것과 저것을 찾아주겠니”

2) 당신의 기대를 말한다.
가) 아이들이 스스로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 모를 수 있다. 부모가 바라는 것을 이야기함으로써 아이들은 상황에 맞는 필요한 행동이 어떤 것인지 배울 수 있다.
3) 자녀가 문제를 수습할 수 있도록 시범을 보인다.
가) 상황에 맞는 행동이 어떤 것인지 소개했더라도 자녀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수 있다. 이때 시범을 보이면 자녀들이 곧바로 수습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4) 선택의 기회를 준다. 그러나 지속적 실패에는 조치를 취한다.
가)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자녀가 어떻게 할지 선택할 기회를 준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실패할 경우에는 단호한 조치를 취한다.


[라] 자율성 길러주기

1) 아이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가) 아이들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쉬운 연습부터 하도록 한다.
나) 부모들은 자신들도 경험해보지 못한 것을 자기 나름대로 판단하여 자녀들이 의사결정을 하도록 강요해서는 안 된다.
다) 사람이 의존적인 상태에 있을 때는 고마운 마음도 있지만 보통 무력감이나 불안, 좌절 또는 분노를 경험하기도 한다. 의존이 적대감으로 발전되기도 하는
것이다.

2) 아이들의 노력을 존중하며 지켜본다.
가) 인내심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의 노력을 존중해주면 스스로 끝내려는 용기를 갖게 된다.

3) 아이들 질문에 빨리 답하려고 서두르지 않는다.
가) 아이들이 질문을 하면 먼저 그들 스스로 답을 찾아볼 기회를 준다. 그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스스로 고민하며 이유를 찾아내려 애쓴다.
나) “왜 대학을 가야하나요?” “글쎄.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왜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

4) 아이들의 희망을 빼앗지 않는다.
가) 아이들의 희망과 결정에 대해 비난하거나 실망시키지 않는다. 아이들을 실망시키지 않음으로써 부모가 아이들의 희망, 꿈을 스스로 노력하여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나) “네가 학생회장을 할 수 있다고? 반에서 회장 경험도 없잖아.”/ “만약 학생 회장이 된다면 네게 큰 도움이 되겠구나”
다) 자율성을 길러주기 위해 신체 정리를 부모가 직접 해주지 않는다. 사소한 면까지 간섭하지 않는다. 아무리 아이가 어려도 아이가 있는 곳에서 다른 사람에게 아이의 이야기를 하지 말라. 스스로 대답하게 하라. 아이들의 마침내 해야 할 일을 하리라는 신뢰를 보여준다. “안 돼”라는 말로 시작하는 대신 그 이유를 말해준다.


[마] 칭찬하기

1) 부모가 본 대로 표현한다.
가) 아이들의 행동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부모가 인지했다는 것을 알린다.

2) 부모가 느낀 대로 표현한다.
가) 부모가 그 상황에서의 느낌이 어떤 지를 아이에게 알려준다.
나) “좋다, 멋지다, 아름답다”와 같은 평가를 하는 단어는 아이들을 불만족스럽게 만든다. 부모의 주관적 평가는 언제나 호의적이기만 하다고 느낄 수 있다.
다) “목도리 선물이 정말 좋다.”/ “내가 좋아하는 물방물 무늬가 가득하구나.”
라) “좋은 시를 썼구나”/ “‘커다란 날개의 방황’이라는 표현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 주는군”
마)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칭찬은 부모가 보고 느낀 것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런 칭찬을 듣고 난 후 아이는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게 된다.

3) 아이가 칭찬받을 만한 행동을 한두 마디 말로 요약해 설명해준다.
가) 아이가 한 행동을 의미하는 하나의 표현을 말한다. 그러면 아이는 자신의 행동의 맥락을 이해하고 다른 상황에서도 같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나) 예) “그런 행동을 (참을성, 시간엄수, 정직함, 솔선수범, 결단력, 의지, 융통성, 의리, 용기, 체계적 등)이라고 하는 거야.”


[바] 자녀에게 안정감 주기

1) 부모는 자녀의 생리적 욕구를 채워주어야 한다.
2) 부모는 자녀의 안전에 대한 욕구, 보호받고 싶은 욕구를 채워줄 수 있어야 한다.
3) 사랑과 소속감의 욕구는 사랑받고 싶은 욕구이며, 어떤 공동체에 소속되고 싶은 마음이다. 부모는 자녀가 가정에 소속되어 있으며 사랑받고 싶다는 욕구를 채워 줄 수 있어야 한다.
4) 사랑과 소속감에 대한 욕구가 채워지면 자녀는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임을 느끼면서 존중 받고 싶은 욕구를 갖는다.

경기도교육청 학부모교육 자료집 중에서
첨부파일
게시글 삭제사유

게시 설정 기간 ~ 기간 지우기

전체댓글수총 0개

0/ 500 byte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를 남겨주세요~